탐라문화제 2020
탐라문화제는 지난 1962년 문화예술인들이 참여한 순수예술단체인 제주예총이 주최하여 '제주예술제'라는 이름으로 탄생 되었습니다.
제주예술제는 1965년 4회 때부터 한라문화제로 이름을 바뀌면서 전통문화와 현대예술이 조화를 이룬 종합적인 향토문화축제로 전환되면서 더욱 다채로워져서 제주를 대표하는 문화축전으로 그 위상을 한껏 드높였다. 이처럼 성장해 온 한라문화제는 2002년 제41회부터 '탐라문화제'로 개칭하고 '제주의 유구한 역사와 고유한 문화전통'을 되살리는 문화축제로 그 성격과 내용을 재정립 했습니다.
탐라문화제는 개천예술제와 백제문화제와 더불어 전국의 3대문화축제로 성장하였고, 2004년부터는 문화관광부에서 우수 지역 민속축제로 지정되기도 했습니다.
탐라문화제에서 발굴된 방앗돌굴리는노래와 귀리겉보리농사일소리, 멸치후리는소리와 해녀노래, 불미공예를 비롯한 여러 민요 종목들이 제주도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보배로운 문화유산으로 보존 전승되고 있다. 탐라문화제는 제주의 축제 발전에도 크게 공헌했다. 조랑말경주는 제주마 축제로 성장했고 남제주군의 특성행사로 열렸던 성읍민속마을의 정의골한마당축제와 덕수리전통민속재현행사는 지역문화축제로 발전하면서 그 우수성을 널리 떨치고 있으며 도내 수협들이 주관했던 바다축제는 제주해녀문화축제로 승화되어 세계화를 도모하고 있다.
전국의 다양한 축제 중에서도 유일하게 열려 오고 있는 언어축제인 '제주어 축제'는 사라져 가는 구수한 제주사투리를 생활 속에 되살리는 중심 축제로 성장하여, '제주어보존전승조례'를 제정하는 문화정책으로 승화되었고 다양한 측면에서 제주어교육과 연구를 확산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주요행사
개막행사
코로나 19로 멈춘 문화예술생태계를 복원하고, 시민들을 위로하는, 탐라문화제와 제주예총의 사회적 역할과 위상을 재정립하는 계기로 60주년 탐라문화제 준비의 출발을 선언합니다.
일시 : 2020년 10월 07일(수)/ 16:00 ~ 17:00
장소 : 제주아트센터
TV탐라가 탐나
2020/10/7 ~ 10/11 5일간 매일 2시간씩 진행됩니다.
일시 : 2020년 10월 07일(수)/ 18:00 ~ 20:00
장소 : 탐라문화제 스튜디오
JIBS, 유튜브 편성
미디어아트전
탐라문화제 가치를 지닌 공간에서, 제주의 이야기와 탐라문화제의 역사를 접목함 미디어 아트 및 키네틱 아트 입니다.
일시 : 2020년 10월 07일(수)/ 19:30 ~ 21:30
장소 : 제주시 산지천 일대
2020/10/7 ~ 10/11 5일간 매일 19:30 ~ 21:30 진행 됩니다.
해설이 있는 무형문화재 축제
무형문화재 영상은 TV탐라가 탐나!를 통해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일시 : 2020년 10월 07일(수)/ 17:00 ~ 18:50
장소 : TV탐라가 탐나 방영 예정 및 sns 업로드
예능종목 : 해녀노래, 제주민요, 제주시창민요, 삼달리어업요, 행상소리, 진토굿파는소리, 멸치후리는노래, 진사대소리 등
시연종목 : 갓일(총모자), 갓일(양태), 망건장, 탕건장, 고분양태, 정동벌립장, 오메기술, 고소리술, 성읍리초가장 등
드라이브_인 힘내라 제주! 콘서트
도내 예술인과 함께하는 방콕탈출 프로젝트
일시 : 2020년 10월 07일(수)/ 19:00 ~ 21:00
장소 : 새별오름
탐라 드라이브 in 영화의 밤
일시 : 2020년 10월 07일(수)/ 22:00 ~ 12:00
장소 : 새별오름
10/7 사일의 기억
10/8 리틀 큐
10/9 좀비파이터
10/10 예수보다 낯선
10/11 두번째 겨울
찾아가는 탐라문화제
코로나로 인해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 도민들을 위해 제주도 내 곳곳을 직접 찾아갑니다!
2020/9 ~ 10 매주 금,토 진행
일시: 2020년 09월 11일(금)/ 19:00 ~ 20:00
장소 도내 참가신청지역